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기타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이 글은 현재 진행중인 프로젝트에 들어갈 데이터입니다) 저는 코레일톡 앱을 자주 이용하는 사용자이며, 블로그 내용의 모든 캡쳐본은 제가 직접 캡쳐한 것입니다. 저는 srt를 자주 이용하지 않고 ktx나 ITX, 무궁화호를 자주 이용합니다. 그리고 안드로이드 휴대폰을 사용합니다. 저도 기차를 자주 이용하는데요. 명절과 같은 날은 미리 기차표를 예약해두지 않으면 기차표가 다 매진이 되어버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면 스마트폰으로 미리 예매를 해야하는데요. 제가 자주 이용하는 앱인 "코레일톡" 앱을 같이 알아보겠습니다! 1. 소개 코레일톡은 출발지와 목적지를 지정하여 기차운행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예매도 가능합니다. 또한 철도관련 공지사항(연휴, 기차운행중단, 지연안내 등)을 확인할 수 있고 할인정보도 알..
(이 글은 현재 진행중인 프로젝트에 들어갈 데이터입니다) 참고로 저는 이 앱을 사용하는 사람일 뿐이며, 해당 앱 소개비용을 포함한 홍보비는 전혀 받지 않았습니다. 버스 도착 정보를 알기 위해 카카오지도앱, 네이버지도앱 등을 자주 이용하시는데요. 지도앱에서 버스정보가 조회되지 않는 경우가 꽤 있습니다. 특히 서울이 아닌 지방의 경우 버스정보가 잘 조회되지 않는 것 같습니다. 저는 구미에 거주 중인데, 버스정보를 조회할 때는 카카오지도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제가 버스정보 조회를 위해 이용하는 앱은 "전국스마트버스" 앱인데요. 전국스마트버스 앱은 전국의 모든 버스 정보를 알려주는 애플리케이션입니다. 1. 앱 소개 이 앱은 다음과 같은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1. 현재 정류장의 버스 도착 정보 조회 2. 버스..
(이 글은 현재 진행중인 프로젝트에 들어갈 데이터입니다) 대부분의 사진은 제가 직접 캡쳐한 사진입니다. 저의 경험을 바탕으로 작성된 글이며, 다른 방법으로 앱을 사용하셔도 괜찮습니다. 저는 삼성 갤럭시 휴대폰을 사용하고 있고, 카카오 택시를 가끔 사용하는 사람입니다. 요즘은 길에서 택시를 잡기 쉽지 않습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택시를 앱으로 호출하여 이용하고 있는데요. 특히 명절과 같이 특별한 날에는 앱 없이는 택시를 잡기 정말 쉽지 않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택시앱 사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택시앱에는 대표적으로 "카카오택시" 가 있습니다. 카카오톡 계정만 있으면 가입이 가능합니다. 1. Play 스토어 앱에 들어갑니다 휴대폰에 설치된 앱을 찾아 클릭해줍니다 검색창을 클릭하고 "카카오 택시" 라고 검..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이번에 금오공대 멋쟁이사자처럼 동아리에서 교내 해커톤을 진행하였다. 나에게는 멋사에서 진행한 첫 프로젝트이자 스프링과 리액트를 사용한 첫 프로젝트여서 의미가 있었던 시간이었다.물론 힘든 점도 있었지만 정말 재미있었다! 이 기억을 남기기 위해 회고록을 써보려고 한다. 해커톤 진행 기간6월 24일에 첫 회의를 시작하고 2주간 개발을 진행한 후, 7월 7일과 8일에 무박2일로 교내 해커톤을 진행하였다. (일수로 따지면 총 15일이 걸렸다)6월 24일 첫 주제회의6월 27일 화면설계 회의6월 28일부터 거의 매일 백엔드 회의7월 4일 전체 회의7월 7~8일 해커톤! 해커톤 주제 해커톤 주제는 이전에 진행한 아이디어톤의 주제를 그대로 가져왔다. 해커톤 프로젝트의 주제를 3줄로만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분리배출 방..
이 방법은 원본 repository가 있고, fork를 따서 내 repository에 가져와서 협업하는 방식과 관련되어있다. 저번 프로젝트에서 이 방법을 사용하였는데, 충돌도 적게 나고 훨씬 편했다. 이후에도 이 방식을 사용할 생각이 있다. 협업 시 fork를 사용하면 fork를 받아온 원본 repository와 fork를 딴 내 repository가 있을 것이다. 이 때 다른 사람이 원본 repository에 merge를 하면 fork를 딴 내 repository와 코드상에서 차이가 발생한다. 그러면 충돌이 날 수 있는데, 이 문제는 remote와 upstream을 이용하면 해결할 수 있다! Upstream과 Downstream local에서 나의 원격 repository(origin)로 push하고 ..
비즈니스 모델은 1990년 말 이후 인터넷 기업들이 출현하면서 비즈니스 실무에서 확산된 개념이다. 인터넷 기업들은 전통적 오프라인 기업들과 비교해 가치와 수익을 창출하는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비즈니스 모델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였다. 비즈니스 모델의 정의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를 창시한 알렉산더 오스터왈더와 예스 피그누어는 그들의 첫 공동저서인 '비즈니스 모델의 탄생(Business Model Generation)'에서 다음과 같이 정의함. 비즈니스 모델이란, 하나의 조직이 어떻게 가치를 창조하고 전파하며 포착해내는지를 합리적이고 체계적으로 묘사한 것이다 이 외에도 다양한 정의가 있지만, osterwalder의 정의가 가장 깔끔하다고 교수님이 말씀하셨다. 그냥 요약하면 소비자에게 가치를 전파해서 수익으로 변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