싸피를 준비할 때 여러 블로그들의 도움을 받은 기억이 있어 합격후기를 써보려고 한다.
코딩테스트와 면접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대외비이기 때문에 여기 적을 수 없고, 내가 어떻게 준비했는지에 대해서만 작성할 생각이다.
글쓴이가 지원한 곳
참고로 나는 서울이 아닌 캠퍼스의 전공자 코딩트랙으로 지원했다.
모바일 x 임베디드 x
모집 절차
자세한 내용은 싸피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모집절차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음
- 지원하기 (졸업한 학교 등을 입력)
- 에세이 제출
- 코딩테스트(SW 적성진단) 실시
- 인터뷰
- 합격발표
싸피 준비 오픈채팅방
https://open.kakao.com/o/gQYSpD9
싸피를 준비할 때 오픈채팅방에 꼭 들어갈 것을 추천한다. (이 채팅방 말고도 몇 개 더 있다)
같이 싸피를 준비하는 사람들과 정보 공유도 가능하고, 에세이나 면접 팁도 얻을 수 있다. 나는 여기서 11기 지원자들과 상호 에세이 첨삭을 했고, 코딩테스트 스터디도 들어갔고, 면접스터디도 구했다. 이전 기수 선배님들이 에세이 첨삭을 해주는 경우도 있어서 정말 큰 도움이 된다.
에세이
오픈채팅방에 있는 팁, 다른 블로그의 팁들을 싹 긁어모아서 에세이에 녹였다. 글자 수는 맥시멈으로 꽉 채웠다.
팁들 몇 가지만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다
- 두루뭉실하게 쓰지말고 구체적으로 쓰기
- 싸피에서 얻어가고싶은 것을 구체적으로 강조(싸피에서 뭘 하겠다만 나열하지 말고 이유도 구체적으로 적기)
- 내가 싸피에서 잘 배울 수 있는 사람인 걸 강조
나는 내 컨셉을 명확하게 잡았고 이를 에세이에 최대한 녹였다. 그리고 이후 면접 답변도 에세이와 일관된 컨셉으로 준비했다. 면접 때 말할 것도 생각하면서 작성하는 게 좋을 듯
코딩테스트 준비
나는 기업코딩테스트 준비하듯이 백준을 풀면서 코테를 준비했다. 싸피 코딩테스트의 난이도는 대외비라 적을 수 없지만 이렇게 준비하면 충분히 합격할 수 있을 것 같음.
(물론 나는 이전에 백준을 조금 풀어봤던 상태였고, 알고리즘 관련 학부수업도 들었기 때문에 완전히 노베이스는 아니었다. 완전 노베이스라면 조금 더 일찍 시작하거나 나보다 더 열심히 준비하셔야할 것 같다)
1. 백준
나는 나에게 익숙한 백준 위주로 공부했다.
9, 10월에는 정말 많은 문제를 풀었고 공부도 많이했는데, 10월 말에는 우테코 프리코스에 집중하느라 백준 골드5 문제를 하루에 하나씩만 풀었다.
내가 푼 백준문제는 9월~11월 사이에 포스팅 된 블로그 참고하면 될듯(블로그에 포스팅하지 않은 골드5문제도 많다)
내가 공부한 알고리즘 종류는 다음과 같음
- 그리디
- dfs, bfs, bruteforcing(백트래킹)
- sorting
- 이진탐색
- dp
- data structures(힙, 트리, 덱 등)
- 다익스트라
백준에서 해당하는 문제를 태그검색해서 난이도 정렬을 한 후, 사람들이 많이 푼 문제만 골라 브론즈부터 골드후반까지 풀었다.
2. SWEA
https://swexpertacademy.com/main/main.do
여기서 D2~D3정도 수준의 문제가 나온다는 말을 듣고 D3위주로 풀었다.
나는 D3을 31개 풀었고 D2는 별로 안풀었다.
코딩테스트 입출력이 SWEA 문제와 비슷하다는 말이 있기 때문에 익숙해질 겸 몇 개는 풀어보는 게 좋을듯
인터뷰 준비1 - 인성면접
내가 가장 자신없었던 게 인터뷰였다. 그래서 인터뷰 확정이 나자마자 면접스터디를 구했고, 하루종일 인터뷰 준비를 했다.
면접스터디를 잘 구하면 정말 큰 도움이 된다. 면접스터디를 안했으면 싸피에 못들어왔을 것 같다. (스터디원을 잘 만났기 때문일 수도 있다) 면접스터디는 대면으로 구했고, 매일 만나서 인성면접 위주로 모의면접을 했다. 모의면접을 위해 대비한 질문들을 몇 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실제 면접질문이 아닙니다!!!!! 제가 준비했던 질문일 뿐이니 참고만 해주세요.)
- 1분 자기소개
- 자기소개 꼬리 질문
- 백엔드 개발자가 되고싶은 이유 등
- 마지막 한마디
- 에세이 관련 질문
- 프로젝트 관련 질문
- 어떤 서비스?
- 어떤 기술스택 사용
- 어떤 기능 개발
- 어려웠던 점
- 아쉬웠던 점
- 유지보수 경험
- ssafy 지원동기
- 되고싶은 개발자
- 현재 뭐 공부 중인가(기술, 언어 등)
- 성격의 장단점
- ssafy를 통해 얻고싶은 것
- 리더형? 팔로워형?
- 팀을 위해 희생한 경험?
- 본인의 경쟁력
- 실패나 좌절 경험
- 안좋아하는 유형의 팀원과 같은 팀이 되었을 때 어떻게 대처?
- 팀원과의 갈등경험
- 대학교 수업때 재미있었던 과목/ CS질문 대비
- 취미
- 최근 읽은 IT관련 책, 뉴스
이것들 외에도 구글링을 하고 면접스터디를 하면서 많은 질문을 준비했다. 솔직히 질문에 대한 답변을 외우는 것보단 에세이와 일관된 컨셉을 유지하면서 비슷한 결로 잘 대답하는 게 맞는 것 같다. 준비되지 않은 질문들을 면접에서 받을 가능성이 정말 높기 때문이다.
그리고 면접스터디 할 때 피드백은 맵게해주는게 좋다. 내가 몰랐던 사소한 습관이 스터디원에게는 보일 수 있고 면접관님들에게도 분명 보일거다. 칭찬도 해주면서 매운 피드백을 주면 좋을듯
인터뷰 준비 - PT면접
https://www.lgcns.com/blog/it-trend/
https://news.naver.com/main/main.naver?mode=LSD&mid=shm&sid1=105
https://fastcampus.co.kr/story
https://www.digitalbizon.com/news/articleList.html?sc_sub_section_code=S2N6&view_type=sm
이 사이트들에서 최신 IT기사를 최대한 많이 읽으면서 정리했다. IT기사를 평소에 잘 안읽어서 낯선 내용이 많았기 때문에 시간을 많이 들여서 공부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DOvCIrwMPbQ&t=1157s&pp=ygUSUFTrqbTsoJEg6rCV66-87ZiB
강민혁님의 PT면접 유튜브를 참고하여 구조화시키는 연습을 했다.
PT주제와 관련된 내용들은 다른 블로그에도 많아서 거기서 참고하면 된다.
결과
잊고 지내다보면 인터뷰결과가 나왔다는 문자가 온다. 사이트에 들어가면 합격 여부를 알 수 있다.
싸피를 위해 많은 준비를 한 건 맞지만 내가 잘해서 합격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코딩테스트 문제도 운 좋게 풀 수 있는 문제가 나왔고, 면접스터디원들도 운 좋게 잘 만나서 합격할 수 있었다. 그냥 정말 운이 좋았다.
싸피에 떨어졌다고 너무 좌절하지 않았으면 좋겠다. 절대 못해서 떨어진 게 아니고 운이 안좋았을 뿐이다. 싸피보다 더 좋은 부트캠프들도 많기 때문에 다른 기회를 잡으면 된다. 글쓴이도 우테코의 최종코딩테스트도 못가보고 떨어졌지만 이후 싸피라는 좋은 기회를 얻을 수 있었다. 각자 자리에서 열심히 살다보면 좋은 기회가 올거다.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 SQLD 시험일정 정리 (0) | 2024.01.07 |
---|---|
자율주행 차량이란? (0) | 2023.12.07 |
SSAFY 적성진단 일정 정리 (0) | 2023.11.12 |
[지식글] 이커머스가 어려우신 분들도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농축산물 플랫폼, 한채를 소개합니다! (2) | 2023.08.18 |
[지식글] 기차예매 스마트폰으로 하는 법! 코레일톡 앱 사용법을 알아봅시다 (0) | 2023.08.16 |